본문 바로가기
건강

미역국, 자주 많이 먹으면... 건강에 '이런' 문제 생겨?

by healthchosun 2025. 3. 22.
산모도 주의해야 할

‘미역국 중독’ 위험성

 

출산 후 산모 음식으로 익숙한 미역국은 간편하게 끓여 두고 한동안 식탁에 올리기 쉬운 메뉴입니다. 풍부한 영양소와 저칼로리 식품으로 인식돼 ‘건강식’으로 여겨지지만, 지나치게 자주 먹는다면 오히려 갑상선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 

미역은 대표적인 요오드(Iodine) 함유 식품입니다. 우리 몸에서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을 합성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미네랄입니다. 하지만 과유불급이라는 말처럼, 지나친 요오드 섭취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 

미역국 한 그릇이면 하루 권장량 ‘초과’

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, 성인의 요오드 1일 권장 섭취량은 150μg, 상한 섭취량은 2400μg입니다. 그러나 말린 미역 10g에는 1160μg의 요오드가 들어 있어, 일반적인 미역국 한 그릇(약 700μg)의 요오드 함량만으로도 이미 권장량을 훨씬 초과하게 됩니다.

❗ 만약 하루 세 끼를 미역국으로만 해결한다면, 총 섭취량은 약 2100μg에 달합니다.

여기에 김, 멸치, 새우 등 한국 식탁에서 자주 오르는 다른 요오드 함유 식품까지 더해지면, 상한선을 훌쩍 넘어가는 것은 시간문제입니다.

 

한국인, 이미 요오드 ‘과잉 섭취’ 중

2016~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김초일 박사팀 연구에 따르면, 한국인의 요오드 평균 섭취량은 417μg, 중앙값도 129μg에 달합니다. 권장량보다 높은 수치를 이미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. 문제는, 우리가 자각하지 못한 채 일상에서 이미 요오드를 충분히 섭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. 여기에 무심코 매 끼니 미역국을 추가로 먹게 되면, 갑상선에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커집니다.

 

 

 

요오드 과잉, ‘갑상선 기능 저하증’ 위험

과도한 요오드는 갑상선의 요오드 흡수 및 호르몬 합성을 억제하게 만듭니다.

이는 울프-차이코프 효과(Wolff–Chaikoff effect)라고 불리며, 일시적으로 갑상선 기능이 저하되는 자연 방어 기전입니다. 하지만, 갑상선 자가면역 질환이 있거나 과거 갑상선 이상 병력이 있는 사람은 이 효과가 지속되어 만성적인 갑상선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 

👉 특히 이런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!

  • 가족 중 갑상선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
  • 과거 본인이 갑상선 질환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
  • 출산 후 산모 (요오드 권장량이 증가하긴 하지만 무분별한 미역국 섭취는 금물)

 

산모도 조심해야 할 미역국 과다 섭취

산모는 임신과 수유 시기 동안 요오드 필요량이 일반인보다 높습니다.

  • 임신 중 요오드 권장 섭취량: 220μg
  • 수유기 요오드 권장 섭취량: 290μg

 

미역국은 분명 건강에 좋은 음식입니다. 하지만 한 가지 음식만 집중적으로 섭취하는 편식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하고, 특정 영양소 과잉 섭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요오드는 갑상선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, 상한 섭취량(2400μg)을 넘지 않도록 주의하고 다양한 해조류와 갑상선 영향을 미치는 음식의 섭취량도 조절해야 합니다.